반응형
알츠하이머의 원인 발견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알츠하이머병에 의한것으로,
전체의 약 6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질환이다.
스탠퍼드 연구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알츠하이머의 원인은
뇌에서 바이러스등 위험물질을 제거하는 소교세포(microglia)의 문제 때문이다
전체 뇌세포중 약 10퍼센트 정도를 차지하는 이 소교세포는 뇌에서 위험한 물질이 발견되면
이를 제거하고 염증을 억제하는 세포인데,
나이가 들 수록 소교세포 표면의 EP2 수용체 단백질이
문제를 일으키면서 소교세포의 기능이 떨어지고,
알츠하이머의 원인인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제거 되지 못하는것이다
실제로 알츠하이머를 앓는 쥐의 소교세포에서 문제를 일으킨 EP2 수용체 단백질의 활동을
억제하자 쥐의 기억력과 공간지각력이 회복되었다
연구진은 현재 부작용을 막을 수 있도록 EP2 수용체 단백질만을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응형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리는 액체일까 고체일까? (2) | 2015.06.26 |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등장할수 있을까? AI의 모든것 (0) | 2015.06.25 |
현재 발견된 은하중 가장 큰 은하 IC 1101 (0) | 2015.04.20 |
구글과 애플을 위협하는 바이두의 음성인식 기술 (0) | 2015.04.15 |
이젠 어깨까지 로봇 팔을 장착할수 있다. (0) | 2015.04.15 |